쳇 gpt 사용법, 어플은? 한글로 사용하기
쳇 gpt란 자연어 처리 모델을 한 프로그램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오픈 에이아이라는 회사에서 개발했습니다. 컴퓨터 언어와 인간의 언어를 이어주는 매개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그래서 채팅 형식을 취하고 있죠. 이번 글에서는 가입방법과 사용법을 알아봅니다.
목차
1. 쳇 gpt 가입방법
간단하게 설명하면 구글 계정을 이용해서 가입하면 됩니다. 그렇다고 구글 것은 아닙니다.
https://platform.openai.com/signup 가입 페이지 바로가기
상단의 링크를 클릭하시고 들어가면 됩니다. 그러면 하단의 화면이 보입니다.
다음으로 사용하는 이메일에 대한 확인 과정을 거치는데, 해당 메일로 이동해서 온 메일의 링크를 클릭, 본인 소유 핸드폰 번호를 입력합니다.
다음으로 휴대폰으로 온 검증 번호를 가입 페이지에 기입 후 닉네임을 입력하면 끝!
참고로 쳇 gpt 어플이 있을까요?
없습니다. 현재 스토어에 검색되는 gpt 관련 어플은 낚시 광고용입니다. 그냥 링크만 끌어다가 광고 클릭을 유도하기 위한 어플이니 속지 마시기 바랍니다.
2. 쳇 gpt 사용법(간단해 보이지만 사실 조금 배워야 합니다)
일단 쳇 gpt ui에 익숙해져야 합니다.
가입하고 나타나는 화면에서 상단의 plat 그라운드를 클릭해야 합니다.
왜 여기로 들어가야 하는지 설명드립니다. 플레이 그라운드 메뉴는 사용자가 쳇 gpt의 알고리즘 밑 시스템을 이해시키기 위한 메뉴입니다. 그래서 여기에서 매개 변수 및 환경 인수를 실험할 수 있기 때문이죠.
접속 후 아래 그림의 왼쪽에서 '트라이 잇 나우'를 클릭합니다.
자, 그러면 메인화면이 나옵니다. 초기 화면의 가장 맨 밑 네모 입력칸에 한글로 질문을 입력하면 됩니다. 그러면 쳇 gpt가 답변을 해줍니다. 참고로 질문을 입력하는 것을 프롬프트, 쳇 gpt가 답변해 주는 것은 텍스트 콤플리션이라고 합니다. 참고로 알아두세요.
위의 이미지에 보이는 네모 칸에 한글로 질문을 입력하면 됩니다.
*쳇 gpt는 사용자가 입력한 질문을 기억합니다. 그리고 그 저장한 것을 바탕으로 프롬프트(질문 및 요구)를 확장해갈 수 있습니다. 이것이 상당히 중요합니다.
만약 답변이 위와 같이 나왔다면, 다음 질문에서 "5번 항목 중 가장 싼 것은 뭐야?"라는 식으로 질문을 이어나갑니다. 정말 사람이랑 채팅하듯 말이죠.
쉽죠?
3. 한글로 쳇 gpt 사용하기
기본 ui가 영어인지라 사용하기가 힘들 수 있습니다.
방법은 2가지가 있습니다.
일단 한글로 입력하면 한글로 인식하는 것, 알고 계시죠?
- ㄱ. 크롬을 이용하여 오른쪽 마우스 버튼을 눌러 한국어로 번역을 누르는 방법
- ㄴ. 크롬 확장 프로그램에서 번역하여 입력하는 툴을 설치
ㄴ을 추천합니다. 한글로 입력한 것을 영어로 번역하여 질문하기 때문에 gpt가 영어기반인지라 더욱 정확한 답변을 얻을 수 있고, 영어 질문을 수정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와 관련한 설명은 하단의 링크에 있습니다.
*쳇 gpt 한글로 사용하기(프롬프트 지니) 설명법 https://replenish.tistory.com/211
그리고 한국에서 사용할 때 에러가 너무 많이 나는데요, 해결책은 밑을 확인하세요.
쳇 gpt가 계속 오류가 난다면? 해결책은? | 바로가기 |
'챗gpt, 쳇gpt, chat g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챗gpt│영어공부│#2 문장의 문법이 맞는지 물어보고 왜 맞는지까지? (1) | 2023.03.15 |
---|---|
챗gpt│영어공부│#1 올바른 영어 단어 선택하기│올바른 영어 표현 물어보기 (0) | 2023.03.14 |
쳇gpt│유료│무료│차이는? new bing 서비스란? (0) | 2023.03.08 |
챗gpt 어플 다운로드│쳇gpt 모바일 (0) | 2023.03.07 |
쳇gpt 사용법│쳇gpt사용법 요약│한글로│가입방법까지 (0) | 2023.03.06 |
챗 gpt│chat gpt│오류│에러│error│해결 (0) | 2023.03.06 |
쳇 gpt 에러 │error│해결│an error occurred 오류 해결 (0) | 2023.03.03 |
쳇 gpt 한글로 사용하는 방법 (0) | 2023.03.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