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도약계좌│조건│신청방법│2030│중위소득
오늘은 2030 청년이라면 주목해야 할 재테크 뉴스! 청년도약계좌에 대해서 꼼꼼히 살펴보고 요약해 봅니다. 청년 도약 계좌 오늘 파보겠습니다. 청년희망적금이랑은 무엇이 다른지, 이번 윤석열 정부에서는 청년도약계좌란 이름으로 조금 더 혜택을 추가했다고 합니다. 그리고 청년도약계좌 조건은 어떻게 되는지도 살펴봅니다.
청년도약계좌의 취지는 다음과 같습니다. 청년들의 자산 형성을 돕겠다는 것. 윤석열 정부가 공약으로 10년 만기 최대 1억 원의 목돈을 마련할 수 있게 지원하겠다고 해서 화제가 되었었습니다. 실제로 정부 출범 이후에는 10년의 아니라 5년에 5천만 원으로 축소가 되었습니다. 정부 재정 등을 고려했다고 합니다. 금융위원회에서 2023년 예산 확정을 보도자료로 배포한 적이 있습니다. 올해 6월 출시 예정인 윤석열 정부의 청년도약계좌는 청년들의 중장기 자산 형성을 지연하기 위한 제도라고 못 박았습니다. 그래서 여기에 3678억 원을 서민금융진흥원에 출연했다고 합니다. 참고로 문재인 정부의 청년 희망적금은 청년층 저축장려와 재정적인 자산관리를 돕기 위한 것이었습니다.
목차
1. 청년도약계좌 간단히 요점만 정리하면?
*가입 조건은 어떻게 되는 건가요?
납입 한도는 월 최대 70만 원
5년의 의무 가입 기간
정부 기여금과 은항 이자를 모두 합쳐서 만기 시 최대 5천만 원까지 목돈을 마련할 수 있다고 합니다.
가입 대상은?
2023년 기준 만 19세에서 34세 이하입니다. 다만 병역이행을 한 경우에는 최대 6년은 연령 계산 시 미삽입입니다. 즉 군대를 갔다 온 남성은 40세 이하까지 가능합니다.
개인 소득이 6천만 원 이하 기준 중위소득 180% 이하를 충족하는 청년입니다.
중위소득 180%란?
정부 지원 제도의 수혜 대상자를 선정할 때는 보편적으로 활용되는 자격 요건 중에 하나가 바로 소득입니다 중위소득은 전체 가구를 소득 순 세웠을 때 중간에 위치한 가구의 소득을 말합니다.
2022년 2023년 중위소득표에서 180%가 되는 부분을 살펴보면, 1인 가구일 경우에는 약 370만 원대, 2인 가구일 경우 620만 원대입니다.
*중위소득 180프로란? 바로가기 https://www.jobaba.net/thema/exprcDtl.do?seq=4442&cntntsSeCd=02
눈여겨볼만한 혜택은?
본인이 납입한 금액의 비례해서 일정 비율의 정부의 기여금을 지원받고 계좌에서 발생한 이자 소득 등에 대해서는 비과세 혜택을 적용합니다.
청년도약계좌의 업그레이드된 점은?
소득 조건이 조금 더 넓은 범위가 되어서 소득 기준이 완화되었다는 것입니다 돈을 조금 더 많이 벌어도 가입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저축 금액도 70만 원 한도까지 가능하니까 납입 가능 금액이 늘었습니다.
지원금의 비율도 6%까지 높아졌다는 점입니다.
만기가 2년에서 5년으로 변경되었다는 점도 있습니다.
이와 관련한 보도자료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하단 링크를 클릭해서 확인하세요.
청년도약계좌 보도자료(정부 보도) | 바로가기 |
2. 눈여겨볼 점들
유의사항은?
총급여는 7,500만 원 이하입니다. 그리고 근로소득이 있어야만 합니다. 국세청에 소득 신고가 되어 있어야 합니다.
그리고 유의사항을 더 살펴보면
- 납입액은 월 70만 원 최대
- 만기는 5년
- 매칭비율은 3~6프로이며 소득에 따라 차등됩니다
- 정부 기여금은 월 최대 2.4만 원입니다.
- 금리는 미정이며 단리방식
- 15.4프로 비과세입니다
- 중도해지 가능합니다
- 일반해지 본인 납입금만 수령이 가능하며
- 특별해지 사유는 사망, 해외이주, 퇴직, 폐업, 생애최초 주택구입입니다.
또한 총급여가 4,800만 원 이하라면 40~60만 원만 입금해도 정부기여금을 모두 받을 수 있습니다.
위의 표를 보시면 이해가 빠르실 겁니다.
그리고 6,000만 원 초과~7,500만 원 구간은 정부기여금이 없네요. 기본 이자와 비과세 혜택만 받습니다.
그래서 5천만 원을 모으려면?
- 월 70만 원씩 5년 납입\하면 원금은 4,200만 원
- 금리는 최소 6프로 이므로 이자는 640만 5천 원
- 정부 기여금 월 2.1만 원 이므로 총 126만 원
- 총 4966만 원을 수령하게 됩니다.
청년희망적금과는 중복 가입이 안됩니다! 이유는 사업목적이 같기 때문입니다.
청년희망적금을 중단하고 싶다면?
*바로가기, 청년희망적금 해지에 대한 자세한 설명 블로그입니다. https://blog.naver.com/kjeflorence/222964129442
더 자세한 사항은 밑의 링크를 참고하세요.
청년도약계좌 더 자세히 알아보기 | 바로가기 |
3. 기타 도움이 될만한 영상입니다.
청년도약계좌 유튜브 설명 영상 |
'각종 관공서, 민원, 혜택 등 정보 및 신청방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년 기초연금 국민연금 종합운영계획 분석|노인 일자리 수당|2024년 기초생활보호급여는? (0) | 2023.08.31 |
---|---|
담배꽁초수거보상제 얼마일까? 지역은? 서울, 부산, 광주, 인천, 대구, 대전 (0) | 2023.04.08 |
뉴홈│사전청약│뉴홈 유형과 혜택은? 뉴홈 신청방법까지 총정리 (0) | 2023.03.23 |
소상공인 전통시장자금 3차│신청│대상자│대출금리│방법│제출서류 (0) | 2023.03.18 |
에너지바우처 잔액조회 신청방법 대상 지원금액 (1) | 2023.03.13 |
한전 전기요금 조회 (0) | 2023.03.13 |
주69시간│근무표│주52시간과 달라지는 것은?│주64시간은? (0) | 2023.03.10 |
고등학교 생활기록부 발급│신청│조회│정부24│나이스 홈에듀 (0) | 2023.03.09 |
댓글